효종 가계도, 북벌정책 조선 제17대왕 효종대왕 업적
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조선 왕조 가계도

효종 가계도, 북벌정책 조선 제17대왕 효종대왕 업적

by 전짜장 2022. 5. 1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선 제17대왕 효종 가계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효종 가계도에서 효종은 부인이 4명 있었으며 자녀로는 1남 7녀가 있었습니다. 효종 가계도에서 효종의 부인으로는 인선왕후 장씨, 안빈 이씨, 숙의 김씨, 숙원정씨가 있었으며, 효종 가계도에서 효종의 자식으로는 인선왕후 장씨에게서 현종 (조선18대왕), 숙신공주, 숙안공주, 숙명공주, 숙휘공주, 숙정공주, 숙경공주가 있었으며, 효종 가계도에서 효종과 안빈 이씨 사이에서는 숙녕 옹주가 있었습니다. 숙의 김씨와 숙원 정씨 사이에서는 효종의 자식은 없었습니다.

 

효종대왕 업적

 

효종대왕의 휘는 호, 자 정연. 호 죽오, 시호 명의로 인조의 둘째아들 이였습니다. 1626년 봉림대군에 봉해졌으며, 1636년 병자호란으로 인해 형이였던 소현세자와 함께 청나라에서 8년간 볼모로 생활을 하고 오게 됩니다. 아버지인 인조의 미움을 받았던 소현세자는 1645년 청나라에서 돌아와 변사하게 되면서 효종이 세자에 책봉되었습니다. (소현세자는 인조에게 죽임을 당했다는 가설이 존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 포스팅을 읽어주세요!)

 

형이였던 소현세자와 함께 청나라에서 볼모생활을 하였는데, 이때 당시 소현세자는 현실적인 시각을 가져 청나라에 대항하는 것 보다, 청나라가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과 그 힘이 무엇인가 공부했던 반면, 당시 봉림대군이였던 효종은 약한 나라의 울분과 분노가 더 커서 조선에게 치욕을 안겨줬던 청나라의 성장이 못마땅하고 억울했다고 합니다.

 

 

반응형

형이였던 소현세자가 죽게 되고, 효종이 왕위에 올랐지만 정통성에 대해 약점이 있었고, 이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선바들이 루러러보는 사람을 신하로 맞아들이며 신하들을 자기 편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을 했습니다.

 

이때 효종대왕이 가장 큰 공일 들인 사람이 송시열이라는 인물과 송준길 이라는 인물이였다고 합니다.

이들은 모두 척화파로 오랑캐를 물리치자는 뜻을 같이한 사람들이였습니다.

 

효종대왕은 뜻을 같이 하는 신하들과 은밀히 북벌계획을 수립하며 군사를 양성하고 군비를 확충하였는데요, 하지만 북벌정책을 반대하는 신하들의 목소리도 높았으며, 무관을 하대하는 풍조는 여전했다고 합니다. 1654년에는 한간병에서 1만 3000명의 병사가 펼치는 대대적인 관병식을 거행하기도 하였으며, 서양식 무기를 제조하여 그 무기를 시험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청나라의 국세는 더욱 강해졌기 때문에 북벌의 기회는 얻지 못하였습니다.

 

 

 

이런 시기에 1654년 러시아와 청나라의 충돌이 일어나게 되고 청나라는 조선의 군대에 파병요청을 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병자호란 이후 조선은 사실상 청의 속국에 가까웠기 때문에 파병보다는 징병에 가까웠던 수준이라고 합니다.

청이 조선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되고 조선의 조총부대가 파견되어 러시아와 전쟁을 치르게 되는데 이것이 나선정벌 입니다. 나선정벌에서는 승리하였지만, 북벌정책을 꿈꾸었던 효종대왕은 결국 청나라에 승리를 안겨주었던 셈이 되었지요.

 

효종이 즉위하고 8년째 북벌정책은 사대부의 반대로 위기에 봉착하였으며, 사대부의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되자 정책의 동력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1659년 5월 4일 효종이 갑자기 급서하자 그가 추진했던 북벌정책도 소멸하게 되었습니다.

 

효종대왕때는 북벌정책으로 민생의 어려움도 존재하였지만, 그보다도 공납제도의 폐단이 극에 달해 백성들의 생활이 피폐해지게 되었는데요, 우의정이였던 김육의 주장으로 충청도와 전라도에 대동법을 실시한 점이 높게 평가되어 공납의 폐단은 해결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정치 정파의 갈등이 발생하게 되었죠. 어쨌든 대동법은 조선후기 경제 발전의 토대를 이루는 제도로 정착하게 됩니다.

 

김육이라는 인물은 소현세자의 첫째 아들을 가르쳤던 사람으로 봉림대군인 효종이 왕이 되는것을 반대했던 인물이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효종은 김육에 대해 끝까지 믿음을 저버리지 않았으며, 김육 또한 몇 년에 걸쳐 왕을 설득하여 대동법을 확대하여 실시하는 것을 이끌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