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축의금 봉투 쓰는법과 이름을 어디에 써야 하는지, 그리고 금액은 얼마정도로 하는게 적당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혼식장에 축의금을 내려 가면 이름은 어디에 써야하고, 회사 동료지만 소속을 써야할지, 금액은 얼마로 해야할지, 고민을 많이 하실텐데요, 보통 축의금 봉투는 결혼식장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몸과 마음만 잘 챙겨가면 되지요.
만약 아무 글씨가 없는 흰 봉투만 있다면 앞면 가운데에 '축결혼' 이라고 간단하게 축하메세지를 써주면 됩니다.
(꼭 한자가 아니여도 상관은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축의금 봉투 쓰는법은 봉투 뒷면일텐데요,
1) 왼쪽 하단에는 이름을 씁니다.
2) 오른쪽 상단에는 회사,동아리,모임 등 소속을 씁니다.
축의금 봉투 중간에 있는 선을 기준으로 하여 왼쪽 하단에는 이름, 오른쪽 상단에는 소속을 써주면 되는데요, 소속의 경우에는 결혼식을 할때 많은 사람이 축하해주러 오거니와, 동명이인이나 이름이 비슷한 사람이 있으면 헷갈릴 수 있더라구요. 그래서 같은 회사에 다닌다고 해도 소속을 써주시는게 좋습니다.
축의금 금액은 얼마가 적당할까?
축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금액은 얼마가 적당한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주변 지인이 결혼을 하게 되면 축의금을 얼마나 해야할지 애매한 경우가 있는데요, 얼굴만 아는 직장동료나 친한 직장동료, 평소 연락을 안하다가 결혼할때 청첩장을 보내는 지인 등 애매한 관계에 대한 금액은 기준이 애매할 수 밖에 없죠. 보통 이런 경우에는 함께 결혼식을 가는 지인과 얼마정도 할건지 물어보고 평균에 맞춰 내거나 친분에 따라 돈을 더 넣거나 하는등의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만약 내가 먼저 경조사가 있었다면, 상대방 경조사에도 비슷하게 맞춰서 하는것도 방법입니다.
축의금은 보통 3만원, 5만원, 7만원, 10만원 홀수 단위로 많이 하는데 9는 불완전한 숫자라하여 10만원을 맞춰서 내는게 일반적입니다.
1) 3만원
직장에서 형식적으로 할때, 얼굴은 알지만 친분이 없을때는 3만원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식대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3만원을 하는 경우는 많이 줄어들었구요, 게다가 결혼식 참석을 해서 뷔페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3만원은 오히려 상대방의 기분을 안좋게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2) 5만원
일반적으로 5만원을 가장 많이 하는데, 어느정도 친분이 있거나 같은 회사 동료에게 5만원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에는 보통 여자친구나 와이프를 데리고 오면 10만원으로 주는 경우가 많았어요. 식대가 비싸다보니 두사람이면 10만원을 맞춰서 내는 경우가 예의인 것 같더라구요. 결혼식 참석에 혼자간다면 5만원도 적당해 보입니다.
3) 7만원
7만원을 하는 경우는 많이 없는데, 애매한 사이일 경우, 5만원은 작고 10만원은 크다고 생각할때 축의금을 7만원 정도로 하는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7만원은 준적도, 받은적도 없는 경우였습니다.
4) 10만원
친한 지인이라고 생각든다면 10만원까지도 축의금을 하는데요, 직책이나 벌이에 따라 기준도 달라지며 상대방이 직급이 낮거나 부하직원이라면 10만원 정도의 높은 금액을 많이 하기도 합니다.
친한 지인이나 친척의 경우에는 더 큰 축의금이나 따로 챙겨주기도 하는데요, 저도 형의 결혼에는 축의금은 안하고 계좌로 따로 돈을 보내줬던 기억이 나네요.
이상으로 축의금 봉투 쓰는법과 금액까지 알아봤습니다.
'호기심 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경력증명서 발급 신청 방법, 온라인과 오프라인 정리 (0) | 2022.09.22 |
---|---|
맥도날드 맥모닝 시간과 메뉴, 칼로리까지 총정리 (0) | 2022.09.20 |
주짓수 벨트 순서 총정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9.16 |
눈 핏줄 갑자기 왜 터짐..? 원인과 대처법! (0) | 2022.04.11 |
눈충혈 원인과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2.04.09 |
댓글